
1. 시나리오. - images.xxx.com S3 생성 - images.xxx.com 을 cloudfront로 연결 2. S3 생성 - S3에서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버킷 이름 (image.xxx.com)과 리전을 선택 - 옵션 선택 : 입맛에 맞게 옵션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기본 암호화만 선택함. - 권한을 설정: 이 시나리오에서는 최종사용자가 s3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cloudfront를 통해 image에 접근할 것이므로 퍼블릭 액세스를 차단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버킷 만들기] 를 클릭하여 버킷을 생성 3. S3와 CloudFront 연결 최종사용자가 S3를 직접 접근(http://s3.ap-northeast-2.amazonaws.com/image.xxx.com/)하는 것 보다는 ..

AWS CodeDeploy를 사용하여 블루/그린 배포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 블루/그린 배포 : ECS 에서는 서비스를 생성할때 rolling update 또는 blue/green 방식으로 update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생성 이후에는 수정 불가) rolling update는 신규 버전의 health check 가 통과하면 이전 버전을 바로 내리기 때문에, rollback 이 필요한 경우 다시한번 서비스 업데이트 과정을 거쳐야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이전버전의 이미지가 없다면 code build부터 다시해야 한다.) 반면 블루/그린 업데이트 방식은 이전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규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동시킬수 있기 때문에, 트래픽을 신규 버전으로 라우..

이래저래 보안 강화를 위해 vpn을 써야할 일이 생겼다. AWS에서 vpn서비스도 제공하고 있긴한데. 요금이 문제 인증을 받으려면 AD(액티브 디렉토리) 나 사설인증서 를 써야 하는데 둘다 월에 기본 400불 정도는 예상해야 했다. 한푼이라도 아껴야 하는 입장에서 어떤 대안이 있나 찾아보다 ec2에 openvpn을 설치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1. 용도: 사무실 외부에서 DB 관리 및 test 환경 접속용. 2. ec2 생성 인스턴스 유형은 가장 저렴한 t3a.micro - ubuntu 18.04 로 선택. (만약 free tier가 남아있다면 t2.micro 선택) t3a.nano 도 있지만 이것저것 설치하고 나니 용량부족이 떠서 인스턴스 유형을 한등급 올린 상태. 설정시 보안그룹에서 inbound를 아..

EC2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것저것 세팅하다 보니 FTP 전송이 필요해졌다. 그냥 telent 상에서 전송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보다 보니 너무 불편한 것 같아 공부도 할 겸 FTP 세팅을 해보았다. Ubuntu 18.04 로 EC2를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Ubuntu 서버에 vsftpd를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그리고 vsftpd (very secured FTPD : 우분투 기본 FTP)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vsfptd 설치가 완료되면 vsftpd를 다시 사직하고 ubuntu가 재시작될 때 같이 실행되도록 설정한다. sudo systemctl stop vsftpd.service sudo systemctl start vsftpd.se..
RDS의 mariaDB 에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parameter 설정을 변경해야 함.1. RDS -> 데이터베이스 -> 구성 -> Parameter group 선택 2. parameter 변경- 대소문자 구분없는 테이블명 적용 (필요시) : lower_case_table_name = 1 (true)- DB function 생성 가능하도록 설정 (필요시) : log_bin_trust_function_creators = 1 (true)- character set utf8으로 변경 mariaDB 10.3 버전인 경우 아래 참고- sql_mode = NO_AUTO_CREATE_USER,NO_ENGINE_SUBSTITUTIONhttps://mariadb.com/kb/en/library/sql-..
www.example.com 설정 (route53-> cloudfront -> S3로 연결되는 구조)1. S3 버킷 생성 - 이름은 가급적이면 최종 도메인 주소와 동일하게 ( www.example.com ) 부여 할것. coludfront 를 거치지 않고 route53에서 바로 S3 를 선택할 경우 이름이 일치해야 선택 가능하기 때문임- 생성 후 속성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에서 버킷 호스팅 설정 (설정 후 엔드포인트 클릭하여 http 연결 되는지 확인 - 단, 엔드포인트로 테스트하려면 버킷정책이 퍼블릭으로 되어 있어야 함.)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Sid": "PublicReadAccess", "Effect": "Allow", "Princip..
- Total
- Today
- Yesterday
- dynamic component
- ag-grid
- ag grid
- MariaDB
- 긴급재난지원금
- AVD
- i18n
- 플러터 디버그
- 에뮬레이터
- 경로 초기화
- vue
- vs code fultter debug
- Android Studio Emulator
- 로그
- v-iterator
- nativescript-vue
- vuex-persistedstate
- ec2
- vue mobile
- 갤럭시 에뮬레이터
- vue android
- vue ios
- session stroage
- Add AVD
- 다국어
- Vue 다국어
- aws
- Galaxy Emulator
- 한글 like
- vs code flutt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